2월 말, 처음으로 장담그기에 도전했다!
준비물
장담그기를 하려면 몇 가지 재료가 필요해. 내가 준비한 건 메주, 천일염, 물, 그리고 건고추와 숯. 메주는 미리 준비해둬야 하고, 소금과 물의 비율도 중요해. 대략적으로 메주 1kg에 소금 0.5kg, 물 2L 정도가 적당해.
예전에는 계란을 소금물에 담갔을때 500원짜리 동전 크기로 소금 농도를 맞추기도 했다. 지금도 그 방법은 유효하다.
장담그기 과정
이제 본격적으로 장담그기를 시작해볼게. 먼저, 메주를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려줘. 그 다음, 항아리에 메주를 넣고 소금을 뿌려줘. 소금은 고르게 뿌려야 해. 그 후에 물을 부어주면 돼. 물은 메주가 잠길 정도로 충분히 부어줘야 해.
이제 항아리 뚜껑을 덮고, 건고추를 넣어줘. 이건 장의 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해. 마지막으로 숯을 넣어주면, 장이 더 맛있게 발효된다고 해.
장담그기 팁
장담그기를 할 때 몇 가지 팁을 알려줄게. 첫째, 메주를 잘 말려야 해. 물기가 많으면 발효가 잘 안 돼. 둘째, 소금의 양을 조절해야 해. 기온에 따라 소금의 양을 조절하는 게 중요해. 셋째, 항아리는 깨끗하게 씻어야 해.
내가 경험한 장담그기
내가 장담그기를 하면서 느낀 점은,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졌지만, 막상 해보니까 재미있고 뿌듯했어. 특히, 장이 발효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게 신기했어. 시간이 지나면서 장의 색깔이 변하고, 향이 나기 시작하니까 정말 기분이 좋더라.
한국인 밥상에 꼭 필요한 된장과 간장이 되는 과정을 이렇게 실제로 경험하니 다음에는 좀더 잘할 수 있을것 같아. 고추장은 사서 먹어도 괜찮은데 된장과 간장은 집에서 담근 장이 있어야 맛을 낼 수 있어. 오랫동안 건강밥상을 지켜줄 우리의 장류~~~
더 알아보기
장담그기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,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다양한 레시피를 찾아보는 것도 좋아. 예를 들어, 이 유튜브 영상에서는 장담그기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어. 또, 만개의 레시피에서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.
장담그기는 시간이 걸리지만, 그만큼 보람도 크고, 나만의 맛있는 장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매력적인 것 같아. 다음에 또 해보고 싶어!
2025년 장담기 좋은 날(말날)
1월 : 1월 13일 / 1월 25일
2월 : 2월 6일
3월 : 3월 2일 / 3월 14일 / 3월 26일
2025년 손 없는 날
1월 : 6일, 7일, 16일, 17일, 26일, 27일
2월 : 8일, 9일, 18일, 19일, 28일
3월 : 6일, 7일, 16일, 17일, 26일, 27일
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.
[1] YouTube · 곰배밥상 - 장 담그기[정월장] 메주8kg에 소금과 물의 양, 시골 장맛 그대로 ...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sscBIzHZgxk)
[2] 만개의레시피 - 장 담그기.. (https://www.10000recipe.com/recipe/6926340?srsltid=AfmBOopSsjhtRuSc9Ct_VNLZVGFreR7QaTV9dMyHvKPAEwBdBSNgUm53)
[3] YouTube · 통령할미달장 - 실패없이 장 담그는 법. 소금물의 염도 정확하게 만드는 법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9x7-L7hlquk)
[4] 네이버 블로그 - 2024년 장 담그기 장 담그는 날 메주 물 소금 비율 1년 된장 ... (https://m.blog.naver.com/juhyun9909/223377230226)
'정보마당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제] 2025 최저시급에 대해 알아보자 (1) | 2025.03.06 |
---|---|
[여행] 봄꽃 보러 어디로 갈까 (1) | 2025.03.06 |
[경제]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투자하는 미국 주식 10개 (4) | 2025.03.06 |
[봄나물] 한번 심어서 평생 먹을 수 있는 나물 7가지 (0) | 2025.03.05 |
[도토리묵 만들기] 집에서 만드는 도토리묵 (0) | 2025.01.13 |